인천 동구가 지역 내 주요 현안 중 하나인 송림플라자 부지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공론화에 본격 착수했다. 지난 4월 18일, 구청 갈매기홀에서 첫 번째 ‘송림플라자 부지 활용 협의체’ 회의가 개최되며, 난개발을 막고 공공성 중심의 개발을 위한 논의가 시작됐다.
이번 회의는 김찬진 동구청장을 비롯해 구의원, 청운대학교 장동민 교수, 관계 공무원, 주민대표 등 총 17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부지의 활용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며, 매입 여부부터 활용 시설의 종류, 대안 마련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를 놓고 열띤 의견을 주고받았다.
송림플라자 부지는 송림동 11-117 일대에 위치한 대규모 토지로, 현재 개인에게 분할 매각될 경우 소규모 공장들이 무분별하게 들어설 가능성이 있어 주민들 사이에서 난개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동구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부지 일괄 매입과 공공사업 추진을 하나의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으나, 예상 매입 비용이 4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되면서 재정적 부담 역시 적지 않다.
![]() [코리안투데이] 동구 송림플라자 부지 활용 협의체 회의 © 김미희 기자 |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구성된 협의체는 구의 일방적인 추진이 아닌, 전문가와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의사결정 구조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구는 협의체를 통해 도시관리계획 변경, 공원 조성, 공공시설 설치 등의 방안은 물론, 부지를 매입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다양한 대안도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동구청 관계자는 “이번 협의체는 특정한 활용 방향을 미리 정해놓고 논의하는 자리가 아니다”라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협의체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성과 타당성을 면밀히 분석한 후, 구체적인 활용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첫 회의는 공공성, 효율성, 실현 가능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지역 개발의 방향성이 보다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진다.
향후 협의체의 논의는 송림플라자 부지 활용에 대한 중장기적 로드맵 수립의 기초가 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개발 과정에서 주민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반영되고, 지역공동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결정되기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크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