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에 엄격한 잣대를 요구하는 이유

진보에 엄격한 잣대를 요구하는 이유

▲ 송면규 컬럼     ©

 

진보에 대해 엄격한 잣대를 요구하는 이유는, 진보가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추구하면서도 그것이 가져올 결과와 영향을 철저히 검토해야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진보는 본질적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향하며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가는 과정인데, 이 과정에서 무조건적인 낙관이나 미숙한 접근은의도치 않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첫째, 진보의 핵심 특성과 엄격함의 필요성

1. 사회적 변화의 주도권

– 진보는 현재의 제도, 관습, 관념 등을 변화시키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변화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고 철저한 검토가 요구된다.

– 잘못된 진보는 오히려 퇴보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예컨데, 과도한 개혁이 사회적 불안을 초래할 수도 있다.

2. 이상과 현실 간의 간극

– 진보는 더 나은 세상을 추구하는 이상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현실적인 한계와 마주한다.

– 이상을 실현하려는 과정에서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계획과 책임감이 있는 태도가 필요하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다.

3. 결과의 예측 불확실성

– 진보적인 변화는 새로운 시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결과를 완전히 예측하기 어렵다.

– 이러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실증적 자료, 역사적 교훈, 다각적인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진보에 대한 엄격한 잣대의 이유

1. 사회적 책임

– 진보는 단순히 개인적인 성취를 넘어 공동체와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 따라서 진보적 제안이나 행동이 불평등을 심화하거나 특정 집단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2. 장기적인 영향

– 진보적인 변화는 단기적인 성과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결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특히 정책적, 제도적 변화는 한 세대 이상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엄격한 기준이 요구된다.

3. 윤리적 기준

– 진보는 더 나은 사회를 위한 도덕적 정당성을 가져야 한다. 만약 진보가 인간 존엄, 정의, 평등 등의 가치를 훼손한다면 그것은 진정한 진보라고 할 수 없다.

– 따라서 윤리적 검증이 진보의 핵심 기준 중 하나로 작용한다.

4. 비판적 검토의 필요성

– 진보적인 아이디어는 종종 혁신적이거나 기존의 질서에 도전하기 때문에,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지 않으면 감정적으로 지지나 유행처럼 끝날 수 있다.

– 진보가 지속 가능하고 설득력을 가지려면 철저한 비판과 반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셋째, 진보에 엄격한 잣대를 요구하지 않을 때의 위험

1. 성급한 개혁의 부작용

–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변화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보적인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유용해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사회적 갈등을 키울 수 있다.

2. 기회의 상실

– 신중하지 못한 접근은 진보의 실패로 이어지고, 이는 더 나은 변화를 추구할 기회를 잃게 만들 수도 있다.

– 실패는 진보에 대한 회의감을 키워, 보수적인 흐름을 강화시킬 위험이 있다.

3. 사회적 신뢰의 훼손

– 진보는 사회적 신뢰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엄격한 잣대 없이 추진된 진보가 실패하면, 대중은 변화를 두려워하게 되고 사회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넷째, 진보적 가치와 엄격함의 균형

진보에 엄격한 잣대를 요구한다고 해서 모든 변화를 막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더 나은 진보를 위한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용기와 신중함의 균형

– 진보는 새로운 시도를 하지 않는 용기를 필요로 하지만, 동시에 신중하고 체계적인 계획이 뒤따라야 한다.

2. 비판과 지지의 균형

– 비판은 진보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더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돕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결론

진보는 단순히 기존의 것을 바꾸는 데서 멈추지 않고, 변화가 가져올 결과와 그 변화의 정당성을 끊임없이 검토해야 한다.

특히 엄격한 잣대는 진보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더 강하고 설득력 있게 만들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진정한 진보는 이상과 현실, 열정과 이성, 혁신과 책임이 조화를 이루는 데서 나온다.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성북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