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급락…다우 1.7%↓·나스닥 2.2%↓, 소비심리 위축 직격탄

 

미국 뉴욕증시가 소비심리 위축과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급락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8.63포인트(1.69%) 하락한 43,428.02에 거래를 마감하며 올해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438.36포인트(2.20%) 떨어져 19,524.01을 기록했으며, S&P500지수 역시 104.39포인트(1.71%) 하락한 6,013.13에 마감했다.

 

뉴욕증시 급락…다우 1.7%↓·나스닥 2.2%↓, 소비심리 위축 직격탄

 [코리안투데이] 뉴욕증권거래소  © 현승민 기자

 

뉴욕증시의 급락은 소비자신뢰도 하락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미시간대학교가 발표한 2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64.7로, 1월(71.7) 대비 7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67.8)를 크게 밑도는 수준으로, 소비자들의 경제 신뢰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또한,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을 더욱 키웠다. 2월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는 4.3%로 전월(3.3%) 대비 1.0%포인트 상승했으며,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도 3.5%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올랐다. 이는 199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장기적인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미국 경제의 핵심 동력인 서비스업도 흔들렸다. S&P 글로벌이 발표한 2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49.7을 기록하며,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위축 국면에 접어들었다. 반면, 제조업 PMI는 51.6을 기록해 8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경제에서 비중이 더 큰 서비스업 부진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날 증시에서는 기술주를 포함한 주요 성장주들이 대거 하락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넘게 급락하며,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이 4%대 하락을 기록했다. 또한, ‘매그니피센트7’으로 불리는 거대 기술기업들도 줄줄이 하락했다. 테슬라는 4% 이상 떨어졌고, 아마존과 알파벳은 2%대,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플랫폼스도 1%대 약세를 나타냈다.

 

이날 미국 최대 보험사 유나이티드헬스케어그룹은 정부 조사의 영향으로 7% 이상 폭락했다. 법무부가 메디케어(노년·장애인 사회보장제도) 예산을 과다 청구한 혐의로 조사를 시작하자 투자자들이 대거 매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방어주로 꼽히는 필수소비재 및 의료 관련주는 상승세를 보였다. 존슨앤드존슨, 코카콜라, 맥도날드, 펩시코 등은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인해 오름세를 기록했다.

 

한편, 국제유가도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4월물은 전 거래일 대비 2.08달러(2.87%) 내린 배럴당 70.4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미국이 이라크에 원유 수출 확대를 압박하면서 공급 증가 우려가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장 변동성을 반영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 대비 2.55포인트(16.28%) 상승한 18.21을 기록하며 투자 불안 심리를 반영했다.

 

월가 전문가들은 “소비심리 회복과 연준의 정책 방향이 증시 안정의 핵심 변수”라며 “향후 경제 지표에 따라 증시의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현승민 기자 ulsangangnam@thekoreantoday.com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