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서울시 신혼부부 결혼·살림비용 지원사업, 최대 100만원 지원

2025년 서울시 신혼부부 결혼·살림비용 지원사업, 최대 100만원 지원

 

2025, 서울시가 신혼부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결혼 및 살림비용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이 사업은 결혼 준비와 신혼집 마련에 필요한 비용을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하는 것으로, 생애 단 한 번 받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다. 서울에 거주하는 신혼부부라면 이 기회를 통해 결혼의 첫걸음을 조금 더 가볍게 내디딜 수 있을 것이다.

 

 [코리안투데이서울특별시청 청사 전경(사진제공연합뉴스ⓒ 박찬두 기자

 

올해 처음 시행되는 이 지원사업은 결혼 준비 비용과 살림 장만에 필요한 다양한 항목을 포괄한다. 지원 대상 항목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째, 결혼 준비 비용으로는 예식장 비용, 신혼여행 경비, 청첩장 제작비 등이 포함된다. 둘째, 가전제품으로는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TV, 청소기,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등이 지원된다. 셋째, 주방 및 생활용품으로는 냄비, 프라이팬, 칼과 도마, 식기세트, 컵과 그릇, 믹서기, 커피머신, 토스터기 등이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가구류로는 침대(매트리스 포함), 옷장, 서랍장, 소파, 식탁, 의자, 책상, 책장, 신발장, 수납장 등이 포함된다. 다만, 스튜디오 촬영비, 드레스 및 메이크업 비용, 그리고 서울시 공공예식장에서 제공하는 결혼장려금(비품비)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니 유의해야 한다.

 

지원 요건도 명확히 정해져 있다. 먼저 거주 요건으로, 2025714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부부 중 적어도 한 명이 서울시에 거주해야 한다. 신청일 이전 180일 이상부터 지급 결정일인 20251118일까지 서울에 계속 거주해야 하며, 이 지원은 생애 단 한 번만 받을 수 있다. 만약 부부 중 한 명이라도 이미 지원을 받은 이력이 있다면 신청이 불가능하다.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 120% 이하로 제한된다. 중위소득(전체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한 소득 수준)2025년 기준으로 2인 가구는 월 4,719,190, 3인 가구는 월 6,030,424, 4인 가구는 월 7,317,328원이다. 소득 합산 범위는 혼인신고한 배우자와 미성년 자녀를 포함하며, 소득은 2024년 귀속 소득증명원으로 확인한다. 자녀는 가족관계증명서에 명시된 미성년 자녀만 인정되며, 태아는 포함되지 않는다. 국적 요건으로는 부부 중 한 명 이상이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하며, 외국인 배우자의 경우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신고를 하고 주민등록에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번 지원사업의 규모는 서울시 전체 1,000가구로 한정된다. 만약 당해 연도 예산 범위를 초과하는 신청이 접수될 경우, 소득 수준이 낮은 가구, 신청일이 빠른 가구, 혼인신고일이 빠른 가구 순으로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조건에 부합한다면 최대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유리하다.

 

신청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umppa.seoul.go.kr)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 신청 기간은 20251013일 오전 9시부터 1024일 밤 1159분까지 총 12일간이다. 신청 후 자치구에서 자격 검증 및 1차 승인을 진행하며, 이는 신청일로부터 2025117일까지 완료된다. , 116일까지 보완 요청에 응하지 않으면 1차 승인에서 제외되니 서류 제출과 보완에 신경 써야 한다. 이후 거주 확인 및 지급 결정은 1118일까지 이루어지고, 지원금은 202512월 중 지급될 예정이다. 지급 시기는 신청자의 거주지 자치구청에서 개별적으로 통보한다.

 

제출해야 하는 구비서류도 꼼꼼히 준비해야 한다. 혼인관계증명서(2025714일 이후 혼인신고한 경우), 배우자의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위임장 포함), 구매 영수증(신청일 이전 1년 이내 발급분부터 신청일까지), 그리고 자녀가 있는 경우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하다. 외국인 배우자가 있는 경우, 신청자가 속한 세대의 세대주나 세대원의 주민등록표 등본(인터넷 발급 불가)도 제출해야 한다. 다만, 주민등록표 등·초본과 소득금액증명원은 행정정보공동이용 조회를 통해 별도 제출 없이 확인 가능하다.

 

서울시의 이번 지원사업은 신혼부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으로 평가된다. 결혼과 신혼생활의 초기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이 사업은 특히 저소득 가구에게 큰 힘이 될 것이다.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고,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해 지원 혜택을 받길 바란다. 문의사항이 있다면 서울시 다산콜센터(02-120)로 연락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성동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