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 10년 만에 경제 가치 3.5배↑… 1조 5천억 원 시대 열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이 지난 10년간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루며 ‘대한민국 도시재생 성공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코리안투데이] 성수동의 경제적 가치가 10년 만에 3.5배 샹승했다. © 손현주 기자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성동 빅데이터센터를 통해 분석한 결과, 2024년 성수동의 경제적 가치는 1조 5,497억 원으로 평가됐다. 이는 2014년 4,364억 원 대비 약 3.5배 증가한 수치로, 1조 1,133억 원의 경제적 가치가 새롭게 창출된 것이다. 성동구는 앞으로도 성수동이 연간 1조 원 이상 경제 효과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관광객 유입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내국인 방문객은 2018년 1,993만 명에서 2024년 2,620만 명으로 31% 늘었으며, 외국인 방문객은 같은 기간 6만 명에서 무려 300만 명으로 급성장했다. 이와 함께 지역 내 카드 매출액도 2014년 637억 원에서 2024년 2,384억 원으로 1,747억 원 증가했다.

 

기업과 일자리 창출 성과도 주목된다. 성수동 내 사업체 수는 2014년 1만 751개에서 2023년 1만 9,200개로 78% 증가했으며, 종사자 수 역시 8만 2,747명에서 12만 4,923명으로 51% 늘었다. 이에 따라 법인세 수입도 2014년 3,727억 원에서 2024년 1조 588억 원으로 184% 급증했다.

 

특히 성동구가 적극 추진한 사회적경제 및 소셜벤처 정책은 성수동의 지속 성장을 견인했다. 지난 10년간 사회적기업은 24개에서 129개로, 소셜벤처는 12개에서 297개로 대폭 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연간 약 969억 원의 경제 효과가 발생했다. 소셜벤처 허브센터 입주기업들은 2024년 한 해에만 125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자산 가치 역시 크게 상승했다. 성수동 공시지가는 2014년 ㎡당 321만 원에서 2024년 680만 원으로 두 배 이상 올랐으며, 성동구 GRDP는 2014년 대비 29% 성장한 12조 7천억 원(2021년 기준)을 기록했다.

 

쇠퇴한 준공업 지역이었던 성수동이 이 같은 변화를 이룬 배경에는 성동구의 전략적 도시재생 정책이 있다. 대규모 재개발 대신 붉은 벽돌 건물 보존과 지역 정체성 살리기를 택한 결과, 카페·갤러리·공방이 들어서며 ‘세계에서 가장 멋진 동네’로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또한 국내 최초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을 시행해 원주민과 상권을 지켜내며 상생 기반을 마련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성수동 도시재생은 단순한 개발이 아닌 지역 정체성을 지키며 상생을 추구한 정책”이라며 “사람이 모여야 기업이 모이고, 기업이 모여야 지역이 성장한다는 새로운 도시 성장 모델을 보여준 성공사례”라고 강조했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성남용인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