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제, 세계 관광지로 급부상…한국인 발길도 늘었다

“하늘 높이 솟은 봉우리와 운무가 드리운 절벽을 바라보니 마치 다른 세계에 온 것 같아요!” 장자제(張家界·장가계) 국가삼림공원을 찾은 한국인 관광객 박준민 씨는 장엄한 풍경에 감탄을 쏟아냈다. 최근 장자제는 중국 정부의 무비자 대상국 확대와 무비자 환승 정책 등으로 해외 관광객들의 발길이 크게 늘며 글로벌 인기 관광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코리안 투데이] 장자제(張家界·장가계) 국가삼림공원 위안자제(袁家界) 관광지  © 두정희 기자


후난성 서북부 산악 지대에 위치한 장자제는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진 자연 명소다. 특히 할리우드 영화아바타의 실제 배경지로 유명해지면서 국제적 관심이 집중됐다. 장자제의 번화가를 거닐다 보면 다양한 외국어가 들려오고, 거리에는 한식당과 일식집, 카페 등이 즐비하다. 관광지와 호텔에는 다국어 안내판이 설치돼 있으며, 현지 상인들조차 외국어 몇 마디를 익혀 외국인 손님을 맞이한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장자제를 찾은 인바운드 관광객은 722천 명으로, 이들의 소비 지출은 38천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2%, 16.4% 증가한 수치다. 성수기에는 관광업에 종사하는 인력이 30만 명을 넘어설 정도로 지역 경제에 막대한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오랫동안 장자제의 주요 관광객 유입국으로 자리해왔다. 지난달에는 한국 코미디언 김원효가 장자제 바오펑후(寶峰湖) 관광지 홍보대사로 위촉되며 양국 간 문화·관광 교류가 한층 강화됐다. 김원효는예전에는 장자제가 부모님 효도 관광지로 알려졌지만, 최근에는 젊은 세대 관광객들도 많이 찾고 있다며 변화된 분위기를 전했다. 

 

장자제는 이제 한국을 넘어 전 세계로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2024년에는 총 183개국 관광객이 장자제를 방문했으며, 이는 역대 최다 기록으로 전년보다 50개국이 늘어난 수치다. 동남아시아 국가뿐 아니라 유럽, 미국, 중동 등 신흥 시장에서도 관광객이 몰려들고 있다. 

 

관광 편의 서비스 개선도 눈에 띈다. 필리핀 관광객 에제키엘 산토스는 현지 기념품숍에서 자국의 전자지갑 서비스인 GCash로 결제하며환전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되고 환율도 좋아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이처럼 QR코드 기반의 간편 결제 시스템은 해외 관광객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후난성은 외국인 관광객 편의를 위해 입국 절차, 결제, 교통, 쇼핑 등 전반에 걸친 정책을 내놓았다. 올해 1월에는 성 내 18개 부처가 공동으로 인바운드 관광 발전을 위한 12개 조치를 발표하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톈훙만 장자제시 문화여유광전체육국 부국장은꾸준히 늘어나는 인바운드 관광에 대응해 인프라 확충, 서비스 품질 제고, 관광 인재 양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장자제가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세계적 문화 교류의 장으로 발전할지 주목된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성남용인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