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구, ‘독산시흥구역 재개발사업’ 사업시행자 지정… 신속통합기획 2차 중 두 번째 사례

 

이는 지난 1월 정비구역 지정 이후 약 7개월 만의 성과로,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2차에 선정된 25개 사업지 중 두 번째로 사업시행자가 지정된 사례다.기존 조합방식의 정비사업은 정비구역 지정 후 조합 설립까지 평균 2년 이상이 소요되는 반면, 독산시흥구역은 신탁방식을 채택해 사업 추진 속도를 크게 앞당겼다.해당 구역은 2022년 12월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2차 후보지로 선정된 노후 저층 주거지로, 면적 약 8만8천㎡에 최고 45층, 16개동, 총 2,0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특히 1호선 금천구청역과 신안산선 시흥사거리역(예정)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교통 요지에 위치해 있으며, 인근 독산동 1036번지 및 1072번지 일대의 재개발과 모아타운 사업도 함께 추진되고 있어 미니신도시급 주거단지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코리안투데이]독산 시흥위치도© 최영숙 기자

 

앞서 추진준비위원회는 주민설명회와 설문조사를 통해 지난 5월 14일 한국투자부동산신탁을 예비 신탁사로 선정했다. 이후 신탁업자는 5월 말부터 동의서 징구를 시작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27조에 따른 요건(토지등소유자 75% 이상, 토지면적 50% 이상)을 충족시켰다. 최종 동의율은 76.2%, 동의면적은 72.71%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7월 1일 사업시행자 지정 신청이 이루어졌다.

 

금천구는 서류 검토와 4차례의 보완 과정을 거쳐 사업시행자를 최종 지정했으며,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주민과 구청이 협력해 사업시행자 지정이 조속히 완료된 만큼, 사업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앞으로도 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통해 도시 활력을 높이고 주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한편, 금천구는 주민들의 혼란을 방지하고 사업방식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서울시와 협력해 ‘찾아가는 정비사업 주민학교’를 운영하며, 다양한 사업 시행방식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 바 있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성남용인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