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진로 체험 프로그램 ‘청.진.기’로 미래 설계 지원

청소년 진로 체험 프로그램 ‘청.진.기’로 미래 설계 지원

 

2025, 동대문구가 청소년들의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동대문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와락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관내 중학생들에게 실제 일터에서의 경험을 통해 미래를 구체적으로 그려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 동대문구는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현장 중심의 진로 체험을 활발히 운영 중이라고 101일 밝혔다.

 

 [코리안투데이아트스튜디오 여유’ 도예가 체험(사진제공동대문구청ⓒ 박찬두 기자

 

..청소년 진로직업체험의 기적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교실을 벗어나 실제 직업 현장에서 다양한 직무를 직접 체험하며,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발견하고 미래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 단순히 직업에 대한 설명을 듣는 것을 넘어, 전문가들과의 멘토링(조언과 지도)을 통해 실질적인 조언과 영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큰 특징이다.

 

지난 930일에는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이하 동대부중) 1학년 학생 181명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번 체험은 답십리영화미디어아트센터에서 아나운서와 라이브커머스크리에이터(온라인 생방송 콘텐츠 제작자) 직업을, 올되다농장에서는 스마트파머(첨단 기술을 활용한 농업 전문가), 플랙티컬에서는 코딩 및 게임 개발자, 그리고 서울지방국세청에서는 국세공무원 직업을 경험할 수 있는 4개의 체험처에서 진행되었다. 5개 직업군의 전문가들이 학생들에게 실습 기회와 함께 멘토링을 제공하며, 직업의 현실적인 면모와 필요한 역량에 대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눴다.

 

체험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서울지방국세청을 방문한 한 학생은 국세공무원이라는 직업이 딱딱하고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실제로 시민들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일하는 모습을 보고 놀랐다, “공공기관이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처럼 단순히 직업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을 넘어, 공공 서비스의 가치와 책임감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이 된 것이다.

 

또 다른 학생은 플랙티컬에서 코딩과 게임 개발 직무를 체험한 후 평소 게임을 좋아했지만, 막상 개발자가 되어보니 창의성과 논리력이 모두 필요한 일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앞으로 코딩 공부를 더 열심히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이 학생의 말에서 알 수 있듯, 직접 체험을 통해 직업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목표를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교과서나 강의로는 얻기 어려운 살아있는 배움의 장이 되고 있다.

 

동대문구청장 이필형은 이 프로그램에 대해 큰 자부심을 드러냈다. 그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실제 현장에서 전문가를 만나고 직접 체험해보는 경험은 교실에서는 얻기 어려운 소중한 배움이다라고 강조했다. 그의 말처럼, 지역 내 기업과 기관, 전문가들과의 협력은 청소년들에게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실질적인 동기부여와 영감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현장직업체험 청..프로그램에는 총 12개 중학교에서 1,760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오는 10월과 11월에는 추가로 3개 중학교의 체험이 예정되어 있어, 동대문구 내 15개 전체 중학교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와락은 앞으로도 체험처를 확대하고 새로운 직업군을 지속적으로 발굴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체험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동대문구의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에게 단순한 직업 체험을 넘어, 자신의 꿈과 미래를 구체적으로 그려볼 수 있는 디딤돌이 되고 있다. 학교와 지역이 함께 손을 맞잡고 청소년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이 모습은 다른 지역에도 귀감이 될 만한 사례다. 앞으로도 동대문구가 청소년들의 꿈을 응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더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전해주길 기대해본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송파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