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데뷔 10주년 맞아 기록과 소통으로 증명한 글로벌 영향력

 

방탄소년단(BTS)이 데뷔 10주년을 맞아 전 세계 팬들과 함께한 특별한 활동과 한국 가요계 역사를 새로 쓴 성과로 글로벌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재확인했다. 군 복무와 개인 활동을 병행하는 가운데서도 팬들과의 소통을 지속하며, 앞으로의 행보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2023년은 방탄소년단(BTS)에게 특별한 해였다. 데뷔 10주년을 맞은 그들은 6월 개최된 ‘2023 BTS FESTA’를 통해 팬들과의 끈끈한 유대감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BTS FESTA’는 매년 데뷔일인 6월 13일을 기념해 열리는 이벤트로, 팬들이 방탄소년단과 함께 추억을 공유하고 교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BTS, 데뷔 10주년 맞아 기록과 소통으로 증명한 글로벌 영향력

 [코리안투데이] 군 복무 중에도 지속되는 팬 소통하는 BTS멤버들  © 이윤주 기자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Spotify)도 BTS의 10주년을 기념해 ‘My Top 5: BTS Songs’ 기능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팬들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방탄소년단 곡 5개를 선택하고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었다. 이 기능은 팬들이 각자의 BTS 플레이리스트를 자랑하고, 전 세계적으로 팬덤인 아미(ARMY) 간의 소통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글로벌 팬 참여 이벤트는 방탄소년단이 단순한 K-팝 그룹을 넘어 세계적인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음을 증명한다.

 

한편, 멤버들은 개인 활동과 군 복무를 병행하고 있다. 2023년 4월 제이홉이 입대하면서 군 복무의 시작을 알렸으며, 다른 멤버들도 순차적으로 병역의 의무를 이행 중이다. 한국에서 남성에게 부과되는 병역 의무는 연예계 활동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방탄소년단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팬들과의 소통을 지속하는 전략을 택했다. 소속사 하이브(HYBE)는 위버스(Weverse) 구독 멤버십 등 다양한 유료 서비스를 통해 팬들이 멤버들의 근황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위버스는 전 세계 팬들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멤버들의 군 복무 기간 동안에도 BTS와 팬들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은 성과 면에서도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데뷔 이후 총 음반 누적 판매량이 2,032만 장을 돌파하며 한국 가요 역사상 최다 판매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단순한 판매량 수치를 넘어 BTS가 전 세계 음악 시장에서 얼마나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들의 기록은 K-팝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뿐만 아니라, 방탄소년단은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의 표지 모델로 여러 차례 선정되며 ’21세기의 비틀즈’라는 수식어를 입증했다. 특히 2022년에는 소속사 하이브와 함께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음악 산업을 넘어 기업 경영과 문화 산업 전반에 걸친 영향력을 인정받았다. 타임의 100대 기업 선정은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의 혁신성, 영향력, 리더십 등을 기준으로 평가되며, BTS와 하이브의 이름이 포함됐다는 것은 K-팝의 산업적 가치가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시사한다.

 

BTS는 앞으로도 개인 및 그룹 활동을 통해 팬들과의 소통을 이어갈 계획이다. 멤버들이 차례로 군 복무를 마치고 재결합할 시점에는 보다 성숙해진 모습으로 새로운 음악과 무대를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팬덤 아미(ARMY) 역시 BTS의 다음 챕터를 기다리며,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BTS가 어떤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갈지 주목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의 10주년은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K-팝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과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증명한 해였다. 군 복무와 개인 활동으로 일시적인 공백이 예상되지만, BTS는 여전히 팬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향후 더 큰 무대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앞으로도 방탄소년단이 써 내려갈 새로운 기록과 여정은 전 세계 음악 팬들의 관심을 받으며 K-팝의 역사를 계속 써 나갈 것이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