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A Languages Day 7/221] 만주어 – 황제의 언어, 마을의 자장가로

[WIA Languages Day 7/221] 만주어 – 황제의 언어, 마을의 자장가로

WIA 언어 프로젝트

[Day 7/221]

ᠮᠠᠨᠵᡠ ᡤᡳᠰᡠᠨ

만주어 | Manju gisun

 

“황제의 언어, 마을의 자장가로”

조용한 혁명, 221개 언어의 디지털 기록 • 언어를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류를 구하는 것입니다.

🎵 만주 자장가

“Aji jui, ya ya,
Eme ama de hairakan jui,
Amtangga jembi, saikan etuku etuci”

[아지 주이, 야 야 / 어머 아마 더 하이라칸 주이 / 암탕가 점비, 사이칸 어투쿠 어투치]
“아가야, 잘 자거라 / 부모님이 사랑하는 아이야 / 맛있는 것 먹고, 예쁜 옷 입으렴”

흑룡강성 산자쯔 마을. 72세의 타오칭란 할머니가 손자에게 부르는 이 자장가는 268년간 중국을 통치한 청나라 황실의 언어입니다. 자금성의 현판에 새겨진 그 위엄 있던 문자가 이제는 단 몇 명의 노인들 입에서만 들을 수 있는 속삭임이 되었습니다.

14일마다 하나의 언어가 영원히 침묵합니다.
오늘, Day 7/221, 우리는 제국의 언어를 마을의 기억으로, 그리고 디지털 영원으로 안내합니다.

오늘의 발견

청나라 공용어 10명 미만 화자 산자쯔 마을

📖 잃어버린 시간의 노래

1644년부터 1912년까지. 268년 동안 만주어는 중국 전역에 울려 퍼진 제국의 언어였습니다. 명나라가 무너지고 만주족이 남하하여 세운 청나라는 중국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자랑했고, 건륭제와 강희제 같은 위대한 황제들은 60년 이상 통치하며 번영을 이끌었습니다.

만주 문자는 1599년 창제되어 수백만 건의 공문서에 사용되었습니다. 자금성의 현판마다 한자와 나란히 새겨진 만주 문자는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우아한 곡선으로 “비단처럼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사서오경과 삼국지가 만주어로 번역되었고, 군사와 외교 문서는 만주어로만 작성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만주족 스스로가 중국화의 길을 걸었습니다. 19세기 말에는 베이징의 만주족조차 만주어를 제대로 발음하지 못했고, 1906년 황실 문서 중 만주어로 작성된 것은 황제의 만수무강을 비는 상소문뿐이었습니다. 정치적, 군사적 성공은 민족 정체성의 상실이라는 대가를 치렀습니다.

 [이미지: 자금성 태화전의 한자-만주어 이중 현판. 위엄 있는 만주 문자가 황금빛으로 빛나고, 배경에는 청나라 황제의 용포와 만주 팔기군의 모습]

🌾 희망과 절망 사이

언어 현황

구분 정보
🏷️ 언어 계통 퉁구스어족
🗣️ 원어민 화자 10명 미만 (극위기)
📍 사용 지역 중국 흑룡강성 산자쯔, 다우지아 마을
👥 민족 인구 1천만 명 이상 (대부분 중국어만 사용)

2025년 현재, 산자쯔 마을에는 80세 이상 노인 3명만이 유창한 만주어를 구사하고, 70세 이상 15명 정도가 어느 정도 대화가 가능합니다. 가장 젊은 모어 화자인 지진루(71세)조차 “진정한 만주어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은 이미 세상을 떠났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40세의 스쥔광 선생은 다릅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처음 만주 문자를 본 그는 “만주어로 글을 쓰는 것은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다”며 평생을 언어 보존에 바쳤습니다. 2006년부터 산자쯔 만주어 초등학교에서 매주 2시간씩 만주어를 가르치고, 노인들의 목소리를 녹음하며, 사라지기 전 언어를 붙잡으려 애씁니다.

💎 독특한 아름다움

만주어만의 특별한 표현들

  • ilan boo [일란 보오]
    “세 집” – 산자쯔의 만주어 이름. 처음 세 가구가 정착했다는 마을의 기원
  • adulara ucun [아둘라라 우춘]
    목축의 노래 – 말을 타고 초원을 달리며 부르던 전통 민요
  • ulabun [울라분]
    만주족의 전통 구전 문학. 역사와 신화를 노래로 전하는 예술
  • abka-i fejergi [압카이 퍼저르기]
    “하늘 아래” – 천자의 나라를 뜻하던 청나라의 자칭

만주어는 교착어로서 어간에 접사를 붙여 의미를 확장합니다. 동사에는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특별한 접사가 있어 화자로부터 멀어지는 움직임(-na/-ne/-no)과 가까워지는 움직임(-nji)을 구분합니다. 이는 유목민족의 공간 인식을 보여주는 언어적 특징입니다.

🌐 기술이 만드는 기록

WIA의 디지털 보존 프로젝트

“우리는 단순히 번역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기록을 디지털로 보존합니다.
언어 자료를 영구히 접근 가능하게 만듭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합니다.”

2022년, 중국 사회과학원 왕디 연구팀은 AI를 활용한 만주어 보존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산자쯔 마을 노인들의 음성을 수집하여 ManWav라는 최초의 만주어 음성인식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비록 완벽하지 않지만, 이 AI는 녹음된 자료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연구자들이 수정할 수 있는 초안을 제공합니다.

하얼빈대학교 만주어연구센터는 청나라 문서를 읽기 위한 학문 도구로서 만주어를 가르치고, 전국 여러 대학에서 만주어 동호회가 결성되었습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시버족은 여전히 만주어와 유사한 시버어를 사용하며, 문자 전통의 현대적 수호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산자쯔 만주어 초등학교 교실. 아이들이 전자 칠판에 만주 문자를 쓰고, AI 음성인식 프로그램이 노인의 목소리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모습. 벽에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만주 문자 포스터]

🎭 사라지면 안 되는 이유

만주어가 사라진다면, 우리는 청나라 역사의 절반을 잃게 됩니다. 수백만 건의 만주어 문서는 중국어 번역본에 없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북방 변경의 군사 작전, 중가르와의 전쟁, 러시아와의 외교 문서들은 만주어로만 기록된 경우가 많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제국이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갔는지를 보여주는 거울이라는 점입니다. 세계 역사상 네 번째로 큰 제국을 건설했던 민족이 자신들의 언어조차 잊어버린 과정은 문화 동화와 정체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합니다.

“우리가 만주어를 잃는다면, 우리는 단순히 언어를 잃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누구인지를 잃는 것입니다. 언어는 우리의 영혼이고, 우리 조상들의 지혜입니다.” – 맹셴런(85세), 산자쯔 마을 최고령 만주어 화자

🔮 우리가 만들 내일

2017년부터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 언어 교육 시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산자쯔 초등학교에서 만주어를 가르치기 시작했습니다. 비록 정치적 변화로 프로그램이 축소되었지만, 만주족의 정체성 의식은 점점 강해지고 있습니다.

가수이자 작곡가인 악샨(Akšan)은 20년간 동북 지역을 돌며 “잃어버린 리듬”을 찾아다녔습니다. 그가 녹음한 《목축의 노래》는 온라인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젊은 세대에게 만주어의 아름다움을 전했습니다. 비록 일상 언어로서의 부활은 어렵겠지만, 문화유산으로서 만주어는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생명을 얻고 있습니다.

“221일 후, 모든 언어가 디지털로 기록될 때, 우리는 비로소 완전한 인류의 기록을 갖게 됩니다. 만주어는 그 기록의 7번째 장입니다.”

268년
청나라 통치 기간
<10명
현재 원어민 화자
1천만+
만주족 인구

🌟 영혼의 울림

“Manju gisun akū oci,
Manju niyalma akū ombi”
[만주 기순 아쿠 오치, 만주 니얄마 아쿠 옴비]
“만주어가 없으면, 만주인도 없어진다”

제국의 언어가 마을의 자장가가 되어
당신 영혼의 현을 울리기를

그리고 시공을 넘어 공명하기를

WIA와 함께, 모든 목소리는 영원합니다

🌍 당신도 언어 수호자가 되어주세요

한 사람이 시작했지만, 모두가 함께 완성합니다
당신도 이 역사의 증인이 되어주세요

📅 내일의 기적

Day 8/221: 제덱어 (Jedek) – 말레이시아
정글 속에 숨겨진 280명의 목소리, 평화의 언어가 디지털로 깨어납니다.

WIA Languages Project

221개 언어로 세계를 연결합니다
조용한 혁명, 인류의 디지털 아카이브

 

📚 WIA Languages: wialanguages.com
🌐 WIA Tools: wia.tools
📰 The Korean Today: thekorean.today

Day 7/221: 만주어 (Manchu)
“묵묵히, 흔들림 없이, 한 걸음씩”

© 2025 WIA Language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Made with passion, without compromise, for humanity.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울산강남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