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난청인의 의사소통 전략 – 자신감 있는 대화의 기술

89. 난청인의 의사소통 전략 – 자신감 있는 대화의 기술

 

난청인의 의사소통 전략 – 자신감 있는 대화의 기술 | 코리안투데이

난청인의 의사소통 전략 – 자신감 있는 대화의 기술

📅 2025년  ✍️ 지승주 칼럼니스트  ⏱️ 10분 읽기

“미안한데 다시 한 번만 말해줄래?” 하루에 몇 번이나 이런 말을 하시나요? 난청이 있다고 해서 의사소통을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적절한 전략과 기술을 익히면 누구나 자신감 있게 대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15년간 수많은 난청인분들과 함께 찾아낸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들을 여러분과 나누고자 합니다. 이 방법들을 익히시면 일상의 대화가 한결 수월해질 것입니다.

난청인의 의사소통 어려움 이해하기

효과적인 전략을 세우기 전에 먼저 난청인이 겪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단순히 ‘소리가 작게 들린다’는 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소리의 왜곡, 특정 주파수의 손실, 배경 소음 속에서의 언어 분별 어려움 등 복합적인 문제들이 얽혀 있습니다.

🔍 난청인이 겪는 구체적인 어려움들

  • 선택적 주파수 손실: 자음(ㅅ, ㅊ, ㅍ 등)이 잘 안 들려 단어 구별이 어려움
  • 배경 소음 방해: 카페, 식당 등에서 대화 상대 목소리만 분리해서 듣기 힘듦
  • 빠른 말 처리 지연: 정보 처리 시간이 길어져 대화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움
  • 피로감 증가: 듣기 위해 집중하느라 일반인보다 쉽게 지침
  • 심리적 위축: 자주 되묻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소외감

 [코리안투데이] 89-1. 카페에서의 소통 장면  © 지승주 기자

 

환경 조성 전략: 듣기 좋은 조건 만들기

최적의 대화 환경 설정

💡 즉시 실천 가능한 환경 조성법

  1. 조명 확보: 상대방의 입술과 표정을 잘 볼 수 있도록 충분한 조명 확보
  2. 거리 조절: 대화 상대와 1-2미터 거리 유지 (너무 가깝거나 멀지 않게)
  3. 소음 차단: TV, 라디오, 에어컨 등 배경 소음 최소화
  4. 자리 선택: 벽을 등지고 앉아 소음 반향 줄이기
  5. 시각적 단서 활용: 제스처, 표정, 입술 모양 등을 함께 관찰

상황별 환경 대응법

상황 전략 주의점
식당 구석 테이블, 벽 쪽 착석 오픈 키친 근처 피하기
회의실 발표자 정면, 원형 배치 선호 에어컨 바람 소리 확인
카페 조용한 시간대, 소파석 이용 커피머신 근처는 피하기
야외 바람 방향 고려한 위치 선택 교통 소음이 심한 곳 피하기

적극적 듣기 전략

CLEAR 전략법

CLEAR: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5단계

  • C – Clarify (명확히 하기): “죄송한데 처음 부분을 다시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 L – Look (보기): 상대방의 입술, 표정, 제스처를 동시에 관찰
  • E – Engage (참여하기): 고개 끄덕임, 맞장구 등으로 적극적인 듣기 표현
  • A – Ask (질문하기):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질문으로 소통 점검
  • R – Repeat (반복하기): 핵심 내용을 다른 말로 바꿔서 확인

 [코리안투데이] 89-2. CLEAR 전략 실행 모습- 두사람이 대화하며 눈맞춤과 제스처를 나눔  © 지승주 기자

 

맥락 파악과 예측 기술

난청인에게는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모든 단어를 정확히 듣지 못해도 전체적인 대화의 흐름을 이해하면 의사소통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 맥락 파악 체크리스트

  • 대화 주제가 무엇인지 미리 파악하기
  • 상황과 장소에 따른 예상 대화 내용 생각해보기
  • 키워드 중심으로 듣고 전체 의미 추론하기
  • 상대방의 감정 상태와 표정 함께 고려하기
  • 이전 대화 내용과 연결해서 이해하기

보청기와 보조기기 활용 전략

보청기 최적 활용법

🎧 보청기 세팅별 활용 상황

  • 일반 모드: 조용한 실내 대화용 – 가정, 사무실
  • 소음 모드: 배경 소음이 있는 곳 – 식당, 카페, 모임
  • 방향성 모드: 특정 방향 집중 – 강의, 발표, 일대일 대화
  • 음악 모드: 음악 감상이나 콘서트용
  • 블루투스 모드: 스마트폰 통화, 음성 안내 청취

스마트폰 보조 앱 활용

실시간 자막
Live Transcribe
 
소음 증폭
Sound Amplifier
 
음성 인식
Ava, Rogervoice

심리적 자신감 회복 전략

긍정적 마인드셋 구축

“난청이 있다고 해서 내가 부족한 사람이 아닙니다. 단지 다른 방식으로 소통하는 것일 뿐입니다. 상대방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며,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현명한 선택입니다.”

🌟 자신감 회복을 위한 실천 방법

  1. 솔직한 소통: “저는 난청이 있어서 명확히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주도적 대화: 질문을 먼저 던져서 대화의 방향을 이끌어가기
  3. 성공 경험 쌓기: 작은 대화부터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범위 확대
  4. 지원 그룹 참여: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과의 교류
  5. 전문가 상담: 청각 재활 전문가의 도움받기

 [코리안투데이] 89-3. 난청인 지원 그룹 모습- 밝은 표정으로 소통하는 사람들  © 지승주 기자

 

가족과 지인을 위한 가이드

난청인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주변 사람들의 이해와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가족과 친구들이 알아두면 좋은 소통 방법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주변인들이 도울 수 있는 방법

  • 시각적 신호: 말하기 전에 어깨를 가볍게 터치하거나 손을 흔들어 주의 끌기
  • 명확한 발음: 빠르지 않게, 또박또박, 입 모양을 크게 해서 말하기
  • 적절한 거리: 1-2미터 거리에서 정면을 보고 대화하기
  • 인내심: 여러 번 반복 질문해도 짜증내지 않고 다른 표현으로 설명하기
  • 문서 활용: 중요한 내용은 메모나 문자로 보완하기

의사소통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 적절한 환경 조성이 50%
• 올바른 전략 사용이 30%
•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20%

오늘부터 하나씩 실천해보세요!

마무리하며: 소통의 문은 항상 열려있습니다

난청이 있다고 해서 의사소통의 문이 닫히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 소개한 전략들을 하나씩 실천해보시면, 점차 대화에 대한 자신감이 회복될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어색하고 번거로울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전략들이 자연스러운 습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주변 사람들의 이해와 배려가 함께한다면, 난청은 더 이상 소통의 장벽이 아닌 또 다른 소통의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전화 통화 시 유용한 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난청인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전화 통화를 보다 쉽고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코리안투데이] 89-4. 다양한 연령대의 자신감 있는대화, 행복하게 소통하는 모습  © 지승주 기자

 

 지

지승주 센터장

스타키 보청기 종로센터 센터장
15년 경력의 의학 전문 칼럼니스트
난청 재활 및 보청기 fitting 전문가

코리안투데이 건강칼럼 | 소리의 재발견 – 난청과 함께하는 건강한 삶

본 칼럼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청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시면 반드시 이비인후과 전문의나 청각 전문가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울산강남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