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교통비 지원 사업으로 97.8% 삶의 긍정적 변화 느껴

어르신 교통비 지원 사업으로 97.8% 삶의 긍정적 변화 느껴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는 ‘어르신 교통비 지원 사업’에 대한 사용 현황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80.3%의 어르신들이 사업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특히, 97.8%의 어르신들은 교통비 지원을 통해 삶의 긍정적 변화를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어르신 교통비 지원 사업으로 97.8% 삶의 긍정적 변화 느껴

 [코리안투데이] ‘어르신 교통비 지원 사업’에 대한 사용 현황 및 만족도 조사 모습  © 지승주 기자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는 지난해 11월부터 전국 자치구 최초로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버스 및 택시 요금을 지원하는 ‘어르신 교통비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중구는 지난 6월 3일부터 28일까지 4주간 버스 정류장, 지하철역, 시장, 바자회 행사장 등 어르신들이 자주 찾는 곳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경로당, 노인 일자리 창출 기관, 동네 주민 센터 등을 통해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이 조사에는 1,975명의 어르신이 참여했으며, 이는 6월 말 기준 교통비 지원 신청자의 약 10%에 해당한다.

 

조사 결과, 80.3%의 어르신들이 교통비 지원 사업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매우 만족이 40.9%, 대체로 만족이 39.4%, 보통이 15.1%, 불만족이 4.1%로 나타났다. 어르신들은 교통비 지원 사업이 야외 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70.9%의 어르신들은 교통비 지원 덕분에 외출 빈도가 증가했다고 답했으며, 무려 97.8%의 어르신들이 삶의 변화를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대중교통 이용 증가, 경제적 도움, 정신 및 신체 건강 개선, 대인관계 향상 등의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어르신들은 시장 및 마트에서의 쇼핑(31.9%), 출퇴근(22.4%), 병원 방문(12.5%), 취미 및 여가 활동(11.6%), 자녀 및 친척 방문(9.9%) 등 다양한 목적으로 교통비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단순히 의도된 목적 외에도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어르신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 수단은 지하철(51.5%), 버스(41.4%), 택시(5.4%) 순이었다. 복수 응답자 중 22.8%는 지하철이나 버스와 함께 택시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이는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이 실시한 2022년 서울시 노인 조사에서 주로 택시를 이용하는 서울시 노인의 비율이 2%였던 것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중구는 남산과 그 주변의 언덕길이 많고 지역 버스가 운행되지 않는 점을 고려해 택시 요금 지원을 도입한 것이 어르신들에게 필수적인 조치였음을 입증했다.

 

구청은 어르신들의 불편 사항에도 귀를 기울였다. 어르신들은 교통 카드 사용 내역 조회(30%), 카드 충전(19.8%), 전용 콜센터 연결 불편(11.4%)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20.3%는 불편 사항이 없다고 답했다. 구청은 어르신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티머니와 개선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현장 조사에 참여한 한 어르신은 “다른 곳에 가면 교통 지원 같은 혜택이 없다”며 “이런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는 중구에 오래 살고 싶다”고 말했다. 또 다른 어르신은 “다른 사업은 소득 기준 때문에 자격이 안 되었지만, 교통비는 65세 이상이면 누구나 지원받을 수 있어 드디어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기쁘다”고 밝혔다.

 

중구는 올해 버스 및 택시 교통비를 월 3만원 한도로 지원하고 있다. 조례에 따르면 지원 금액은 전년 대비 최대 월 1만원까지 증액할 수 있어, 어르신들의 만족도와 교통수단 이용 현황, 사용 빈도 등의 정보가 향후 지원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데이터가 된다.

 

김길성 중구청장은 “교통비 지원이 어르신들의 일상생활에 스며들어 활발한 사회 활동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구는 앞으로도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일상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구에 주소를 둔 65세 이상 어르신은 누구나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중구 노인 교통비 지원 사업 시스템(https://www.junggu.seoul.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6월 말 기준으로 어르신 교통비 신청자는 19,715명으로, 이는 전체 대상자의 약 75.4%에 해당한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완주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