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A Languages Day 22/221] 젤란트어 – 바다가 기억하는 목소리
WIA 언어 프로젝트
[Day 22/221]
Zeêuws
젤란트어 | Zeelandic
“바다가 빚은 언어, 섬들이 간직한 목소리”
조용한 혁명, 221개 언어의 디지털 기록 • 언어를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억을 영원히 보존합니다.
바다의 기도문
“Onzen Vaoder, die in d’n emel zeit,
Laet Je naem heileg henoemd ore”
[온전 파더, 디 인 던 에멜 자이트, 라엣 여 남 하일레흐 히놈트 오레]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소서”
주님의 기도. 젤란트 섬사람들이 수백 년 동안 바다를 향해, 하늘을 향해 외쳐온 기도문입니다. 거친 파도와 싸우며 살아온 이들의 언어는 소박하지만 깊은 신앙심을 담고 있습니다. 표준 네덜란드어와는 다른 이 언어만의 독특한 음운과 문법이, 젤란트 사람들만의 세계관을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14일마다 하나의 언어가 침묵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침묵하지 않고, 조용히 변화하며 살아남는 언어들이 있습니다. 네덜란드 남서부, 북해를 향해 펼쳐진 젤란트 주의 섬들. 그곳에서 25만 명이 여전히 젤란트어로 말하고, 노래하고, 기도합니다. 오늘 우리는 바다가 빚은 언어, 섬들이 간직한 목소리를 만납니다.
바다의 언어, 섬들의 기억
젤란트(Zeeland). 이름 자체가 “바다의 땅(Sealand)”을 뜻합니다. 북해의 격랑을 온몸으로 받아내는 이 지역은 여러 개의 섬과 반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세기까지만 해도 섬들 사이를 오가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각 섬은 고유한 방언을 발전시켰고, 심지어 마을마다 조금씩 다른 말을 했습니다.
중세 시대, 이 땅은 홀란트 백작과 플란더스 백작 사이에서 끊임없이 주인이 바뀌었습니다. 북쪽에서는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남쪽에서는 플랑드르어의 영향을 받으며 젤란트어는 독특한 언어적 정체성을 형성했습니다. 넓은 바다가 자연스러운 언어 경계를 만들어주었고, 이 언어는 고립된 채 순수하게 보존되었습니다.
17세기는 젤란트어의 황금기였습니다. “자유 독립 젤란트 국가(Vrye en Independente Staat van Zeeland)”의 공식 언어로서, 이 언어는 가이아나, 수리남, 브라질 북동부, 토바고, 세인트크로이 등 젤란트 식민지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놀랍게도 이 시기 젤란트어를 기반으로 아프리카 언어들과 결합하여 베르비스, 스케피, 네거홀란즈 같은 크레올 언어들이 탄생했습니다. 가이아나의 베르비스 더치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
[황금기 젤란트 섬마을의 일상. 전통 의상을 입은 어부들이 항구에서 그물을 손질하고, 나무 배들이 부두에 정박해 있습니다. 뒤쪽으로는 풍차와 전통 가옥들이 보이고, 벽돌로 된 교회 첨탑이 마을을 지켜봅니다. 사람들은 젤란트어로 대화하며 북해의 날씨를 논하고 있습니다. 따뜻한 석양빛이 마을을 감싸며, 바다와 함께 살아온 이들의 일상이 고요하게 담겨 있습니다. 다큐멘터리 스타일, 8K 디테일.]
25만 명의 목소리, 여전히 살아있는 언어
놀라운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젤란트어는 소멸 위기 언어가 아닙니다. 2024년 기준 약 25만 명이 이 언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젤란트 인구의 60%가 일상 언어로 젤란트어를 씁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브루이니세(Bruinisse), 아르네뮈이던(Arnemuiden), 베스트카펠레(Westkapelle) 같은 고립된 마을에서는 20세 이하 청년의 90% 이상이 젤란트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도시화의 물결은 젤란트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미델부르흐(Middelburg)와 플리싱언(Vlissingen) 같은 도시에서는 표준 네덜란드어가 더 많이 사용되고, 젤란트어는 노년층과 농촌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서 이주민이 많이 유입된 마을에서는 어린이들이 더 이상 젤란트어를 배우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젤란트어는 네덜란드 정부로부터 공식 지역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럽 지역·소수 언어 헌장(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and Minority Languages)에 따른 인정을 받기 위한 운동이 2001년부터 지속되고 있지만, 네덜란드 내무부는 젤란트어를 “네덜란드어의 방언”으로만 분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설문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94%가 젤란트어를 가치 있게 여기며, 82%가 후세를 위해 이 언어를 보존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바다가 지킨 언어의 고유성
젤란트어는 표준 네덜란드어와는 뚜렷하게 구별됩니다. 언어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젤란트어는 여전히 3가지 문법적 성별(남성, 여성, 중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표준 네덜란드어가 2가지로 단순화된 것과 대조적입니다. 둘째, 중세 네덜란드어의 ‘uu’와 ‘ie’ 발음을 그대로 보존하여 단모음 [i]와 [y]로 발음합니다. 표준 네덜란드어는 이것을 이중모음 [ɛi]와 [œy]로 변화시켰습니다. 셋째, 젤란트어는 ‘h’ 발음을 탈락시킵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젤란트어를 모르는 네덜란드어 화자는 젤란트어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상호 이해도가 낮다는 것은 이것이 단순한 방언이 아니라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아야 할 근거가 됩니다.
젤란트어에는 바다와 함께 살아온 이들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미묘한 단어들, 조수의 높이를 구별하는 표현들, 그리고 북해의 변덕스러운 날씨를 묘사하는 풍부한 어휘들. 이 모든 것이 젤란트어만의 독특한 세계관을 형성합니다.
디지털 아카이브로 보존하는 바다의 목소리
WIA는 젤란트어의 현재 모습을 완전하게 디지털 기록으로 남깁니다. 우리는 단순히 번역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언어 자료를 영구히 접근 가능한 형태로 보존합니다.
젤란트어의 음성 녹음, 문법 구조, 어휘 체계, 그리고 각 섬마다 다른 방언의 차이까지 세밀하게 문서화합니다. 브루이니세의 젊은이들이 말하는 젤란트어, 플라케(Flakkee) 섬의 노인들이 부르는 옛 노래, 발헤렌(Walcheren)의 어부들이 사용하는 바다 용어들. 이 모든 것이 디지털 아카이브에 영원히 보존됩니다.
우리는 젤란트-네덜란드어 사전, 젤란트어 잡지, 그리고 다양한 문학 작품들을 디지털 플랫폼에 통합합니다. 서울의 언어학자, 암스테르담의 역사가, 그리고 젤란트 태생의 후손이 동시에 같은 자료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은 기술이 문화를 지키는 방법입니다. 섬들이 다리로 연결되고, 도시화가 진행되어도, 젤란트어의 본질은 디지털 형태로 영원히 남습니다. 미래의 언어학자들, 문화 연구자들, 그리고 젤란트의 후손들이 이 아카이브를 통해 자신들의 뿌리를 발견할 것입니다.
![]() |
[배경에는 희미해지는 오래된 젤란트어 사전과 필기 원고들이 세피아 톤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전면에는 홀로그래픽 형태로 떠오르는 “Zeêuws” 문자와 디지털 음성 파형들이 푸른빛으로 빛나고 있습니다. 젤란트 섬들의 지도가 네트워크 연결선으로 전 세계와 이어져 있고, 다양한 민족의 손들이 보존된 언어 데이터를 향해 뻗어 있습니다. 과거에서 미래로 연결되는 빛의 다리가 희망을 상징합니다. 개념적 디지털 아트, 극적인 조명, 8K 품질.]
바다를 이해하는 고유한 창
젤란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가 아닙니다. 이것은 북해와 함께 살아온 사람들의 세계관이자, 바다의 위험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이해하는 고유한 방식입니다.
1953년 대홍수는 젤란트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혔습니다. 1,836명이 목숨을 잃었고, 수많은 마을이 물에 잠겼습니다. 그러나 젤란트 사람들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델타 계획(Delta Works)이라는 거대한 방조제 시스템을 건설했고, 이것은 현대 토목공학의 기적으로 불립니다.
젤란트 주의 문장에는 반쯤 물에 잠긴 사자가 그려져 있고, “Luctor et emergo(나는 투쟁하며 떠오른다)”라는 라틴어 문구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젤란트 사람들의 정신을 완벽하게 요약합니다. 그리고 젤란트어는 이 투쟁과 승리의 역사를 기록하는 언어입니다.
섬들의 목소리, 디지털 바다로
221일 후, 모든 언어가 디지털로 기록될 때, 우리는 비로소 인류 언어 다양성의 완전한 지도를 갖게 됩니다. 젤란트어는 그 지도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소멸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보존이 필요한 언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25만 명이 자랑스럽게 사용하는 언어.
젤란트 청년들이 자신의 언어로 시를 쓰고, 노래를 부를 때, 그들은 수백 년의 역사를 이어갑니다. 그리고 그 순간들이 디지털 아카이브에 기록될 때, 젤란트어는 시간과 공간을 넘어 영원히 살아남습니다.
북해의 파도는 여전히 젤란트 해안을 때리고, 섬사람들은 여전히 바다의 언어로 말합니다. 이제 그 목소리가 디지털 형태로 전 세계에 울려 퍼집니다. 조용하지만 거대한 변화의 시작입니다.
바다의 축복
“Moge de zêên je drieje en moge de wind altied in je rug blaeze”
[모거 더 제인 여 드리여 언 모거 더 빈트 알티트 인 여 뤽 블라제]
“바다가 당신을 떠받치고, 바람이 언제나 등 뒤에서 불기를”
221개 언어, 221일의 여정.
오늘 젤란트어의 목소리가 당신의 마음에 울립니다.
바다가 기억하는 그 목소리가, 시공을 넘어 당신에게 닿습니다.
WIA와 함께, 모든 목소리는 영원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Day 23 – Kashubian (카슈브어)를 만나겠습니다.
폴란드 북부 바다의 또 다른 목소리를 기대해주세요.
WIA Language Institute와 함께하는 221개 언어의 디지털 기록
wialanguages.com | @WIALanguages
모든 목소리는 영원합니다 🌍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