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보청기 종류별 특징 – 오픈형

35. 보청기 종류별 특징 – 오픈형
✍️ 기자: 지승주

 

보청기 종류별 특징 – 오픈형 

보청기 종류별 특징 – 오픈형

📅 2025년  ✍️ 지승주 칼럼니스트  ⏱️ 10분 읽기

“보청기가 이렇게 작고 가벼울 줄 몰랐어요!” 오픈형 보청기를 처음 착용한 65세 김모 씨의 첫 반응입니다. 오픈형 보청기는 전통적인 귀걸이형의 크기와 무게를 혁신적으로 줄이면서도, 귓속형의 편리함까지 결합한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보청기 유형입니다. RIC(Receiver In Canal) 또는 RITE(Receiver In The Ear)라고도 불리는 이 보청기가 왜 전 세계 보청기 사용자의 70% 이상이 선택하는 제품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픈형 보청기란? 혁신적인 설계의 원리

오픈형 보청기는 보청기의 핵심 부품을 분리하여 배치하는 혁신적인 설계를 채택했습니다. 마이크와 앰프는 귀 뒤의 작은 본체에 위치하고, 리시버(스피커)만 가느다란 와이어를 통해 귓속으로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분산 설계 덕분에 각 부품이 최적의 위치에서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오픈형 보청기의 구성 요소

본체 (귀 뒤): 마이크, 앰프, 배터리, 디지털 프로세서

리시버 (귓속): 스피커 역할을 하는 초소형 출력 장치

와이어: 본체와 리시버를 연결하는 극세선 (거의 보이지 않음)

돔(Dome): 리시버를 보호하고 고정하는 실리콘 날개

 [코리안투데이] 35-1. 오픈형 보청기 구조도  © 지승주 기자

 

오픈형 보청기의 종류와 차이점

1. 표준 오픈형 (Standard RIC)

특징: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다양한 청력 손실에 적용 가능

적합한 청력: 경도에서 중등고도 난청 (20-70dB)

리시버 출력: 표준 출력 (최대 105-110dB SPL)

2. 고출력 오픈형 (Power RIC)

특징: 더 강력한 리시버를 탑재하여 심한 난청에도 대응

적합한 청력: 고도에서 심도 난청 (71-90dB 이상)

리시버 출력: 고출력 (최대 120-130dB SPL)

3. 슬림 오픈형 (Slim RIC)

특징: 극도로 얇고 가벼운 디자인으로 미용적 장점 극대화

적합한 청력: 경도에서 중등도 난청 (20-55dB)

배터리: 충전식 배터리 주로 사용

70%
전 세계 점유율
 
2-6g
초경량 무게
 
20-90dB
적용 범위

오픈형 보청기의 놀라운 장점들

1. 자연스러운 소리 품질

오픈형 보청기의 가장 큰 장점은 ‘오픈핏(Open Fit)’ 설계입니다. 귓구멍을 완전히 막지 않기 때문에 저주파 소리는 자연스럽게 들어오고, 고주파 소리만 선택적으로 증폭합니다. 이는 특히 고주파 난청이 주된 문제인 노인성 난청에 이상적입니다.

🎵 음질 개선 효과

  • 폐쇄감(막힌 느낌) 최소화로 답답함 해소
  • 자신의 목소리가 울리는 현상(Own Voice) 감소
  • 바람 소리나 옷깃 마찰음 등 불쾌한 소음 감소
  • 음향학적으로 더 자연스러운 소리 재현

2. 피드백 현상 획기적 개선

기존 보청기에서 흔히 발생하는 ‘삐-‘ 하는 피드백 소리를 근본적으로 해결했습니다. 마이크는 귀 뒤에, 스피커는 귓속에 분리 배치되어 물리적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입니다.

“오픈형 보청기로 바꾼 후 그동안 겪었던 피드백 문제가 완전히 사라졌어요. 이제 전화 통화나 모자 착용도 걱정 없이 할 수 있습니다.” – 3년간 귓속형 보청기를 사용하다 오픈형으로 교체한 김○○님(67세)

3. 첨단 기술의 완벽한 구현

🔬 최신 기술 탑재 현황

블루투스 5.0
스마트폰 직접 연결
AI 음성처리
환경 자동 인식
충전식 배터리
24시간 연속 사용
방향성 마이크
소음 환경 최적화

 [코리안투데이]  35-2. 블루투스 연결 인포그래픽  © 지승주 기자

 

오픈형 보청기의 단점과 주의사항

⚠️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들

  • 분실 위험: 마스크 착용/해제 시 귀걸이 부분이 걸릴 수 있음
  • 습기 취약성: 리시버가 귓속에 위치하여 귀지나 습기에 노출
  • 와이어 손상: 극세선 와이어가 끊어질 가능성
  • 외관 노출: 매우 짧은 헤어스타일 시 본체가 보일 수 있음
  • 운동 제약: 격렬한 운동 시 떨어질 위험

적합하지 않은 경우

  • 극심한 고도 난청 (90dB 이상의 전 주파수 난청)
  • 심한 중이염이나 외이도 기형이 있는 경우
  • 손떨림이 심해 정교한 조작이 어려운 경우
  • 완전히 보이지 않는 보청기를 원하는 경우

오픈형 보청기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는?

✅ 이런 분들께 특히 추천합니다

청력 손실 패턴별

  • 고주파 난청: 2000Hz 이상의 고음역 청력 저하가 주된 경우
  • 경사형 난청: 저주파는 정상, 고주파로 갈수록 청력 저하
  • 노인성 난청: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스러운 청력 저하

생활 패턴별

  • 활동적인 분: 다양한 환경에서의 소통이 중요한 경우
  • 기술 친화적: 스마트폰 연결 등 첨단 기능 활용을 원하는 경우
  • 보청기 초보자: 처음 보청기를 착용하여 적응이 필요한 경우

 [코리안투데이]  35-3. 다양한 연령대 사용자들  © 지승주 기자

 

오픈형 보청기 선택 시 체크포인트

🎯 선택 전 필수 확인사항

1단계: 청력 평가

  • 순음청력검사로 주파수별 청력 손실 정도 확인
  • 어음청력검사로 실제 의사소통 능력 평가
2단계: 생활환경 분석

  • 주로 활동하는 소음 환경 수준
  • 전화 통화나 TV 시청 빈도
  • 스포츠나 야외활동 참여도
3단계: 기술 요구사항

  • 블루투스 연결 필요성
  • 충전식 vs 배터리식 선호도
  • 앱 연동 기능 활용도

올바른 관리법으로 수명 연장하기

💡 일상 관리 가이드

매일 관리

  1. 부드러운 천으로 본체와 와이어 청소
  2. 리시버 끝의 왁스 가드 확인 및 교체
  3. 건조 케이스에 보관하여 습기 제거

주간 관리

  1. 돔(이어팁) 분리하여 미지근한 물로 세척
  2. 와이어 연결부위 점검
  3. 청력검사 앱으로 기능 상태 확인

🚨 즉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증상

• 와이어에서 소리가 끊어지거나 지직거림
• 리시버에서 이물질 배출이나 악취
• 갑작스러운 음량 감소나 왜곡
• 착용 시 귀 통증이나 염증 발생

마무리하며: 오픈형 보청기, 새로운 청각 경험의 시작

오픈형 보청기는 단순히 소리를 크게 만드는 장치가 아닙니다. 개인의 청력 손실 패턴에 맞춰 정밀하게 조정된 음향 솔루션이며, 현대 기술의 집약체입니다. 특히 고주파 난청이 주된 문제인 분들에게는 가장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청력 상태와 생활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무작정 인기 제품을 선택하기보다는 전문가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자신만의 최적화된 청각 솔루션을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충전식 vs 배터리식 보청기’에 대해 각각의 장단점과 선택 기준을 상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 편리함과 실용성, 어느 것을 우선시해야 할지 함께 알아보시죠.

 [코리안투데이]  35-4. 대화하는 보청기 착용자들  © 지승주 기자

 

지승주 센터장

스타키 보청기 종로센터 센터장
15년 경력의 의학 전문 칼럼니스트
난청 재활 및 보청기 fitting 전문가

코리안투데이 건강칼럼 | 소리의 재발견 – 난청과 함께하는 건강한 삶

본 칼럼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청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시면 반드시 이비인후과 전문의나 청각 전문가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완주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