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압수 곡물을 람사르 고양 장항습지 야생동물 먹이로 활용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지난 14일 인천본부세관에서 압수한 곡물류(녹두 등) 약 1톤을 장항습지에 서식하는 철새 등 야생동물들의 먹이로 살포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폐기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과 비용을 줄이면서, 철새 보호와 생태계 유지에도 기여하는 친환경 정책의 일환이다.

 

고양시, 압수 곡물을 람사르 고양 장항습지 야생동물 먹이로 활용

 [코리안투데이] 고양시, 압수 곡물을 람사르 고양 장항습지 야생동물 먹이로 활용  © 지승주 기자

 

고양시 장항습지 철새 드론 급식 봉사대는 인천본부세관이 지역 환경 단체에 제공한 곡물류 중 약 1톤을 수령해, 이를 드론을 활용해 장항습지에 살포했다.

 

압수된 곡물은 식품으로서의 가치는 없지만, 식물검역을 통과해 국내에 병해충을 옮길 위험이 없는 상태로, 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곡물을 폐기할 경우 환경오염과 탄소 배출을 유발하며, 폐기 비용 또한 발생한다. 그러나 이를 야생동물 먹이로 활용하면 철새 보호와 생태계 보전, 비용 절감이라는 ‘1석 2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장항습지는 국내에서 24번째로 람사르 습지로 등록된 곳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재두루미, 큰기러기 등 3만 마리 이상의 철새가 도래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이에 따라 고양시는 장항습지의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습지보호지역 농민들과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을 체결해 볏짚을 남기거나 벼를 수매하여 철새들의 먹이로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고양시는 지난해 시범운영을 거쳐 ‘장항습지 철새 드론 급식 봉사대’를 결성하고, 본격적으로 드론을 활용한 먹이 공급을 시작했다. 현재 매주 2회, 한 번에 500~1,000kg의 볍씨 등을 살포하며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철새 보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준석 철새 드론 급식 봉사대장은 “폐기될 곡물이 장항습지 야생동물들의 먹이로 활용되면서 생태계를 보전하는 데 기여하니 보람이 크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고양시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 정책을 추진하며, 철새 보호와 생태계 유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