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자체 경량 인공지능(AI) 모델 3종을 오픈소스로 전격 공개하고, 상반기 내 추론형 AI 모델 출시를 예고하며 ‘소버린 AI’ 실현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외산 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 기술로 전 서비스에 AI를 이식하는 ‘온서비스 AI’ 전략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는 평가다.
![]() [코리안투데이] 온서비스 AI, 소버린 AI를 설명하고 있는 김유원 대표(사진출처=네이버클라우드) |
23일 서울 역삼 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제는 서비스 위에 AI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AI 위에 서비스를 얹는 시대”라며 “네이버는 자체 서비스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독립성과 실용성을 함께 갖추겠다는 목표를 실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경량 모델은 ‘하이퍼클로바 X 시드(Seed)’라는 이름으로, 파라미터 수에 따라 3B, 1.5B, 0.5B 세 가지로 구성된다. 3B 모델은 한국어 기반 멀티모달 처리에 특화됐으며, 1.5B 모델은 다국어 번역 및 챗봇 톤 조절에 강점을 보인다. 0.5B 모델은 온디바이스 최적화를 겨냥해 설계돼, 스마트폰이나 가전 기기에서도 독립 실행이 가능하다.
김 대표는 “이 모델들은 단순한 기술 공개가 아니라,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의 일환”이라며 “상업적 활용도 허용해 스타트업, 연구기관, 개인 개발자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추론 모델도 상반기 중 별도로 출시할 예정이다. 특히 이 모델은 최근 에이전트 기술의 국제 표준으로 자리잡은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도입해, 외부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와 연결 가능한 구조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클로바X에게 문서 정리를 요청하면, AI가 노션이나 파워포인트 등 외부 도구를 직접 호출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기술적 구현에 있어 네이버는 자사 챗봇 서비스뿐만 아니라, 스마트홈과 커넥티드카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연동도 염두에 두고 있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기술총괄은 “MCP는 냉장고와도 연결될 수 있는 유연한 프레임워크”라며, 추론형 AI가 실생활에 깊숙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네이버의 플래그십 모델 ‘하이퍼클로바X’의 대규모 업데이트도 예고됐다. 자연스러운 대화형 음성 처리 기능과 비디오 이해 능력이 탑재될 예정이며, 이와 함께 기술 보고서도 공개될 계획이다. 이는 최근 글로벌 LLM 시장에서 인지도가 하락한 데 따른 자구책의 일환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기술력은 충분히 갖춰져 있지만, GPU 인프라 등 자원 격차로 인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라며 “이번 업데이트는 기술적 성과뿐 아니라 다시 한 번 존재감을 되찾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외국 모델에 이름만 붙여 쓰는 방식은 진정한 소버린 AI가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오픈AI·앤트로픽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국내 기업들을 겨냥한 듯한 발언을 덧붙였다. 그는 “네이버는 기술도, 콘텐츠도, 서비스도 스스로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AI 주권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