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총서 AI와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혁신

 

과거에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며칠이 필요했다면, 이제는 챗GPT, 퍼플렉시티, 클로드 같은 AI 도구가 정보 수집과 요약, 비교 분석을 즉시 수행한다. 하지만 빠른 전략이 반드시 좋은 전략은 아니다. 이 책은 AI와 전략 프레임워크의 결합을 통해 사고의 깊이와 실행력을 함께 확보하는 법을 제시한다. 스왓, 페스텔, BMC, 포터의 5가지 경쟁 요인 등 10개의 핵심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AI를 전략적 질문 설계와 분석의 파트너로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다룬다. 프롬프트 예시, 회의 질문, 전략 보고서 작성 가이드를 포함해 실무자가 당장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전략은 더 이상 머릿속 개념이 아니라, 프레임워크와 AI를 통해 실현 가능한 설계로 전환되는 여정이다. 전략은 질문으로 시작되고, 실행으로 완성된다.
 
인공지능총서 AI와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혁신

 [코리안투데이] 사진  인공지능총서 AI와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혁신 © 박수진 기자


책속으로AI는 비전과 미션뿐 아니라 OKR 설계에도 유용하다. 예컨대 “고객 이탈률을 줄이기 위한 OKR 예시를 제안해 줘”라고 하면, “Objective: 고객 충성도 향상. Key Result 1: 반복 구매율 20% 증가. Key Result 2: 이탈 고객의 30% 재활성화” 같은 제안이 돌아온다. 이렇게 만들어진 초안은 회의 토론의 기초 자료가 되며, 빠른 수정과 합의를 가능하게 만든다. 일부 조직은 전략 회의 전에 팀원들이 AI로 OKR 초안을 만든 후 회의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이 방식은 회의의 질을 높이고, 참여자의 주도성과 전략적 사고를 강화한다.
-01_“비전과 목표의 전략적 정의” 중에서

 [코리안투데이] 사진  인공지능총서 AI와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혁신  © 박수진 기자

지은이 황충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수출전문위원으로 재직 중이며,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실전형 수출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전남대학교에서 무역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e-MBA를 수료했으며, 한전원자력연료(주)에서 기획팀장과 해외사업개발실장 등을 역임했다. 2018년에는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출 유공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며 대한민국 원자력 연료 수출 분야에서의 선도적 역할을 인정받았다. 최근에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출 컨설팅의 새 지평을 개척하며, AI를 창작 도구로 삼는 AI 작가이자 전략가로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챗GPT와 함께 쓴 수출실무 가이드북』(2024), 『AI로 나만의 책 쓰는 법』(2024), 『당신의 AI 수출컨설턴트』(2025) 등 다수의 실용서를 집필했으며, 아마존에서는 『Beyond the pen: The Future of book creation with AI』(2023), 『Salome’s Odyssey: Meeting Nietzsche』(2024) 등 총 6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AI를 창의적 파트너로 삼는 철학을 바탕으로 생성형 AI 기술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중소기업이 AI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돕는 실용적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더 많은 이들이 AI의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식 공유에도 힘쓰고 있다.
 
                                           [ 박수진 기자: guro@thekoreantoday.com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글로벌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