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가 공동주택과 대형 복합건축물의 화재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방화문 닫아두기’ 안내 스티커를 확대 보급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용인소방서의 제안을 이상일 시장이 즉시 수용하며 이뤄졌으며, 시는 1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10만 매의 스티커를 제작·배포할 계획이다.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7일, 공동주택과 대형 복합건축물 화재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화문 닫기’ 안내 스티커를 확대 보급한다고 밝혔다.
이 결정은 6일 열린 안전문화살롱 정기회의에서 안기승 용인소방서장이 캠페인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스티커 보급 확대를 건의한 데 따라, 이상일 시장이 즉석에서 예산 지원을 결정하면서 추진됐다.
방화문은 화재 발생 시 불길과 유독가스 확산을 차단해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핵심 시설이다. 지난 1월 분당의 8층 상가 화재에서도 방화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해 인명 피해 없이 전원 구조된 바 있다. 당시 소방 관계자는 “닫힌 방화문이 대형 참사를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용인시는 화재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예산 1000만 원을 투입해 방화문 안전 스티커 10만 매를 제작, 지역 내 공동주택과 복합건축물에 배포할 계획이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용인특례시는 시민 안전 강화를 위해 다양한 화재 및 재난 대응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국 최초로 1억 6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아파트 879곳과 학교 188곳에 옥상 피난유도 설비를 설치했다. 이 사례는 타 지자체에서도 벤치마킹할 정도로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용인시는 3년 연속 재난관리평가 우수기관으로 선정되며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아 의용소방대연합회에 현장 출동차량 2대를 지원했다. 올해는 재난현장에서 상황 파악과 소통이 가능한 ‘재난현장 지휘차량’ 도입도 계획하고 있다.
시는 ▲광역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 확대(교차로 신호기 175곳→1084곳, 소방차량 단말기 57대 신규 설치) ▲화재진압장비 구입(노후 소방호스 교체, 산불호스백 구입) ▲소방용수시설 보강(공장 밀집지역 소화전·산림인접마을 비상소화장치 설치) ▲용인의용소방대 물품 지원 ▲용인시민안전체험장 시설 보수 등 다양한 재난 대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화재와 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사전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관계 기관과 협력해 시민 안전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